728x90
반응형
SMALL
안녕하세요.
IT 직장을 다니면서 자주 쓰고 유용한 vi 명령어 및 사용법입니다.
명령어를 알기 전에 vi는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, 실행 모드로 나뉜다.
- 명령 모드 : 입력하는 모든 것을 명령어로 해석해서 수행을 한다.
- 입력 모드 : 자신이 입력하는 내용이 화면에 보인다
- 실행(ex) 모드 : 파일 저장, 읽기, 외부 명령 실행 종료 등을 실행 모드라 한다.
SMALL
- 명령 모드
명령어 | 설명 |
gg | 제일 첫 행으로 이동 |
G | 제일 끝 행으로 이동 |
x 또는 DELETE | 현재 커서가 위치한 글자 삭제 |
dd | 현재 커서의 행 잘라내기 |
(숫자)dd |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잘라내기 |
yy | 현재 커서가 있는 행을 복사 |
(숫자)yy |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을 복사실행 모드로 나뉜다. |
p | 복사행 내용을 현재 행 이후에 붙여 넣기 |
u | 방금 전에 수행했던 내용을 취소 |
n | 찾은 문자 중에서 다음 문자로 이동 |
N | 찾은 문자 중에서 이전 문자로 이동 |
0 (숫자) | 커서를 현재줄의 맨 앞으로 이동 |
$ | 커서를 현재줄의 끝으로 이동(마지막 글자의 끝) |
- 입력 모드
명령어 | 설명 |
i |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입력 |
I (대문자 i) | 현재 커서 행의 맨 앞에서부터 입력 |
a | 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 칸부터 입력 |
A | 현재 커서 행의 맨 마지막부터 입력 |
o (문자) | 현재 커서 아래로 한 줄 띄우고 입력 |
O (대문자 o) | 현재 커서 위로 한 줄 띄우고 입력 |
ESC |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변경 |
반응형
- 실행(ex) 모드
명령어 | 설명 |
:n | n번째 줄로 이동 (n은 숫자 입력) |
:se nu | 줄 번호 붙이기 |
:se nonu | 줄 번호 없애기 |
:q |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은 경우 종료 |
:q! | 작업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종료 |
:wq | 저장 후 종료 |
:wq! | 강제 저장 후 종료 |
/문자열 | 해당 문자열 찾음(현재 커서 이후로) |
?문자열 | 해당 문자열 찾음(현재 커서 이전으로) |
이상 제가 유용하게 쓰고 있는 명령어 및 설명입니다.
부족한 점이 많아도 예쁘게 봐주세요.
728x90
반응형
LIST
'리눅스 > 참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yum 오류 (0) | 2022.10.26 |
---|---|
리눅스 vsftpd root 접근 허용 (0) | 2022.05.04 |
리눅스 root 계정 su 제한 (0) | 2021.05.27 |
리눅스 iptables 명령어 및 사용법 (0) | 2021.05.13 |
리눅스 ssh 포트 변경 방법 (0) | 2021.03.18 |
최근댓글